목차
청년들을 위한 정부 지원금은 생각보다 훨씬 많습니다. 하지만 각 부처, 지역, 조건이 다르다 보니 헷갈리기 쉽죠.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주요 청년지원금을 목적별로 구분하여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.
청년내일저축계좌 | 월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30만 원 매칭 (3년) | 만 19~34세, 소득 중위 100% 이하 | 복지로 |
청년도약계좌 | 5년간 납입 시 최대 5,000만 원 수령 가능 | 만 19~34세,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 | 은행 / 국세청 연계 |
청년희망적금 (종료 또는 개편 가능) | 저축 장려 금리 + 비과세 혜택 | 사회초년생, 총급여 3,600만 원 이하 | 시중 은행 |
청년월세지원 |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12개월 | 만 19~34세, 중위소득 60% 이하, 무주택자 | 복지로 / 국토교통부 |
청년전세보증금 대출 이자 지원 | 보증금 대출 시 이자 일부 지원 | 소득 5천만 원 이하 청년 | 지자체별 청년포털 |
LH 청년전세임대주택 | 시세보다 저렴한 공공임대 지원 | 무주택 청년, 중위소득 70% 이하 | LH청약센터 |
청년구직활동지원금 | 월 50만 원 × 최대 6개월 | 미취업 청년, 졸업 2년 이내 | 고용노동부 워크넷 |
국민취업지원제도 (유형 I, II) | 매월 50만 원 + 취업컨설팅 | 저소득 구직자 | 고용노동부 |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| 청년 채용 기업에 인건비 지원 | 기업 대상 (청년 간접 수혜) | 고용노동부 |
청년인턴·공공기관 체험형 | 월급, 경력 인정 기회 제공 | 18~34세 미취업자 | 공공기관 채용공고 |
서울시 청년수당 | 월 50만 원 × 6개월 | 서울 거주, 미취업 청년 | 서울청년포털 |
경기도 청년기본소득 | 분기별 25만 원, 연 100만 원 | 경기도 거주 3년 이상 또는 총 10년 이상 | 경기청년포털 |
지역 청년수당 | 지역별 맞춤형 수당 (교통비, 활동비 등) | 지역 청년 | 각 지자체 청년포털 |
K-청년창업챌린지 | 최대 1억 원 창업 자금, 컨설팅 | 예비 창업자 청년 | 중소벤처기업부 |
청년디지털일자리사업 | IT 교육 + 중소기업 매칭 + 급여 지원 | 만 34세 이하 미취업자 | 고용부 / 참여기업 |
내일배움카드 청년특화 | 최대 500만 원 훈련비 + 수당 | 구직 청년 | HRD-Net |
Q. 청년이라면 모두 신청 가능한가요?
A. 아니요. 대부분의 제도는 소득 요건, 거주지, 고용 상태 등에 따라 신청 자격이 다릅니다.
Q. 중복 신청이 가능한가요?
A. 일부는 중복 가능(청년월세 + 청년도약계좌), 일부는 중복 제한(청년수당 + 구직지원금). 반드시 조건 확인 후 신청하세요.
Q. 대학교 재학생도 가능한가요?
A. 일부 정책(월세지원, 적금 등)은 가능하지만, ‘졸업 후 2년 이내 구직자’를 요건으로 하는 제도는 제한됩니다.